주택생산공학과
주택생산공학과
3150001. 주택산업문화특론 (Prevention of Disaster)
주거 건설과 생활 문화에 관한 일반적 기술과 지식을 다루는 교과목으로서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주택생산, 주택환경 및 설비, 주택 설계, 기획, 주택 개발 및 관리, 경영 등의 전반에 대한 지속가능한 주거 계획 및 설계, 친환경 에너지 기술, 고성능 재료 및 구조 기술, 합리적 건설관리 및 시공 기술, 주거 및 도시의 역사와 문화, 창의적 기술 융합 등을 조사하고, 학습한다.
1323002. 논문연구 (Study of Thesis)
생물학적 지식을 기반으로 관련 분야인 약리학, 생화학, 시기해부생리학 등의 심화 학습이 가능토록 한다.
1324001. 방재론 (Prevention of Disaster)
주택에서 발생 가능한 각종 재난, 예를 들면 지진, 화재, 전도 등에 대한 발생유형 및 빈도 등을 폭넓게 다름으로써 주택생산에 있어서의 재난발생 저감 및 예방을 위한 방안을 검토한다.
1324020. 공동주택의 구조시스템 개론 (Introduction to Structural System of Apartment Houses)
공동주택의 구조시스템에 대한 기본개념, 골조구조에서 전단벽식 구조로의 변천과정과 각 구조형식별 장단점 비교 및 가변형 평면을 수용하는 골조구조와 철골조 초고층 아파트 등에 대한 구조시스템의 특성 등을 고찰하여 더 나은 공동주택의 구조시스템을 발굴하기 위한 학문을 습득한다.
1324023. 고층건축물의 최적설계론 (Optimum Design for Tall Building)
고층건축물의 경제성 및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도입되고 있는 최적설계기법의 전반적인 사항과 시스템의 구조특성 및 부재 설계방법 이해와 실무 적용 기술을 습득한다.
1324026. 주거건축 증개축 연구 (Study of Housing Renovation)
노후건축의 증대, 사회적 요구의 변화와 기존건축물에 대한 에너지 효율화의 필요성 증대 등을 건설시장에서의 재건축 및 증개축 공사량 비율이 점차 증대하고 있다. 이에 본 교과에서는 리노베이션이 건축적 인식과 계획 고려인자에 대한 기초지식을 일차 구축한 후 주거건축에 대한 리노베이션 사례연구를 통하여 노후 주거건축에 대한 향후 대응방향 모색과 그 건축기법을 숙지시킨다.
1324028. 전산구조 해석 (Computer - Aided Structural Analysis)
전산구조해석의 정식화 이론과 해석과정을 설명하고, 각 차원, 단체 및 isoparametic 요소등을 연속체 문제의 해에 적용하며, 시스템 방정식의 수치해법에 대한 학습을 기초로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Package 프로그램들을 이용하여 여러 구조형식 및 재료 등에 대한 구조 및 응력해석을 수행한다.
3120001. 유비쿼터스공간론 (Theory of Ubiquitous Space)
유비쿼터스 컴퓨팅에서 비롯된 건축적인 적용으로, 각종 컴퓨터, 센싱, 제어기술을 사용하여 유비쿼터스 공간을 만드는 분야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다. 인간의 행위와 연관된 건축공간의 연구로부터 보다 편리한 유비쿼터스 공간을 만들어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3120002. 컴퓨터응용건축기하특론 (Computational Architectural Geometry)
현재의 컴퓨터 기술은 건축정보모델링을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으며, 그런 컴퓨터 기술의 기본에는 건축적인 조형성을 컴퓨터로 표현할 수 있는 디지털 건축기하에 있다. 본 과목은 그와 같은 컴퓨터프로그래밍을 통한 건축기하의 표현연구를 목표로 한다.
3120013. 초고층주거건축외장공법및시공기술 (Building Envelope Technology of High Rising House)
초고층 주건 건축물의 건설에 있어서 구조체 외부에 시공하는 외장 커튼월 및 관련 마감에 관련한 재료 기술, 양중 기술, 품질관리 기술, 성능 확인 기술, 유지관리 기술에 대한 이론 및 실무를 연구한다.
3120004. 해외건축및신도시 (International Building Construction & New Town)
국내 주택사업의 부진과 건설산업의 변화로 인해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해외건설시장에 대한 전반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국내 기업들의 성공적으로 진출할 수 있는 시장에 대하여 토론하고 해외시장에서 확고한 위치를 다지기 위한 정부정책 개발과 교육기관의 연구지원 방안에 대하여 모색한다.
3120005. 공정원가통합관리 (Integrated Cost & Schedule Management)
건설프로젝트의 공정관리사항인 공기단축, 자원관리, 진도관리 및 전산 S/W에 대한 기본 공정관리기법 이해와 공공발주공사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 “원가계산에 의한 예정가격 작성준칙”을 기반으로 한 비용관리기법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실무에 필요한 미래 지향적이고 창의적인 공사관리 기술에 대한 발상 과 개발에 요구되는 기본 소양을 배양하고 실제 건축공사에 적용능력을 높이도록 한다.
3120006. 친환경주택건설품질경영론 (Green Housing Construction Quality Management)
환경친화적인 주택건설 또는 쾌적한 실내공간 확보를 위해 주택의 각 부위에 요구되는 성능을 분류하고 요구 성능을 만족시키기 위한 공·법 선정 방법을 학습한다. 또한 각종 성능 인증제도 및 품질경영, 품질보증, 품질관리 관련 개념이해와 품질 시스템 개발, 적용방법에 대한 사례 조사 연구, 실무 적용방안, 품질관리 이론에 대한 기술개발과 발전방안을 모색한다
3120007. 주택건설계약및클레임 (Housing Construction Contract & Claim Management)
주택건설산업의 공사계약방식 및 보증제도의 개념 및 유형을 이해시키고, 각종 분쟁 해소방법 등에 대해 실제 발생 가능한 시나리오를 소개하여 건설계약 및 클레임 관리 개념을 정립한다.
3120008. 주택건설시장및경영전략 (Housing Construction Market & Management Strategic Planning)
국내외 주택시장의 변화와 주택산업의 발전방향에 대한 팀별 주제설정 및 토론을 통하여 건설회사의 조직과 운영, 공사계약 방식 및 사업수행절차, 경영혁신 기법 등의 개선안을 고찰한다.
3120010. 주택건설의사결정론 (Housing Construction Decision Making)
국내 공동주택 거주자의 실내 환경 및 거주성을 평가할 수 있는 요소인 에너지저감, 차음, 단열, 이산화탄소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발생, 결로 방지, 방수, 내화, 차열 등을 검토 후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 및 방법을 습득하고 거주자의 친환경적인 주거생활 환경조성 및 발전방향에 대해 모색한다.
3120012. 주택건설정보화시공관리 (Housing Construction Building Information)
주택건설에 있어 건설기간 내 발생하는 정보(Information)를 통합하고 건물전생애주기(Life Cycle)동안 활용할 수 있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기술과 공정 및 원가관리 기술을 통합하여 실질적인 정보화 시공기술을 습득한다.
3120014. 친환경주거재료및성능공학 (Performance Engineering and Friendly Environmental Housing Materials)
에너지저감, 차음, 단열, 이산화탄소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발생 억제, 결로 방지, 방수, 내화, 차열 등 환경친화적 주택 건설 또는 쾌적한 실내 공간 확보를 위한 친환경 재료 및 기존 재료의 대체 자재 개발, 관련 재료들의 성능에 관한 이론과 실무를 연구한다
3120015. 주택기술표준화및품질공학 (Standardization and Quality Engineering of Housing Technology)
주거 건축물의 건설에 있어서 지속적으로 고품질, 고성능, 내구 안전성, 친환경성 에너지 저감 성능을 유지하고, 자원 재활용을 위한 사용 기준 등의 표준화 기술에 대한 이해, 이에 대한 국내외적 현황을 조사하며, 향후의 발전을 위한 기술적, 이론적 지식을 학습하고, 연구한다.
3120016. 주택방수재료및공법 (Waterproofing Materials & Construction Methods of Housing)
주택의 장기적 내구성능과 품질을 확보하기 위한 요소 기술로서 빈번히 발생되는 누수 하자 원인 및 유형을 조사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수재료의 종류와 성능, 평가 및 시험방법, 시공 기술의 종류와 관리에 관한 전문 지식을 습득하고, 실무를 연구한다
3120017. 주거건축유지관리및보수기술 (Maintenance & Repair Technology of Housing)
주거 건축물의 내구성 향상과 안전성 확보는 사회간접자본으로서 반드시 갖추어야할 중요한 목적이며, 필요에 따라 안전 진단 및 보수·보강을 수행함으로써 구조물의 수명을 연장하고, 가치를 높이기 위한 구조물의 성능 저하 원인과 대책, 결함에 대한 보수 재료 및 공법, 유지관리 자재 및 장비 등에 대한 공학적 기술과 이론을 학습하고, 연구한다
3120018. 주거진단및비파괴공학 (Nondestructive Inspection of Building)
구조체 시공단계에서의 품질확인 뿐만 아니라, 사용 중의 건물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진단기법 및 비파괴검사 활용기술에 대한 이론 및 현장실무 능력 함양한다.
3120019. 철골구조특론 (Advanced Steel Structures)
각종 변형을 받는 다양한 강구조 부재에 대하여 한계상태설계법을 적용, 각종 좌굴(기둥, 골조, 비틀림, 평판, 국부)과 각종 접합(볼트, PR vs. FR, 용접), 접합부 내진설계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며, 구조물의 구조해석 및 설계 능력을 부양한다.

Quick Menu

  • 건축공학전공 소개
  • 교수소개
  • 입학안내
  • 학생포탈
  • 학사공지(대학)
  • 장학공지(대학)
  • 대학생활(학부학사)
  • e-Class(강의)
[01811] 서울 노원구 공릉로 23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상상관 515호 건축학부 건축공학전공
TEL : 02-970-6551 FAX : 02-970-9739
Copyright (c)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ll Rights Reserved.